투자를 잘하려면 회사만 잘 고르면 끝일까요?

6월 19 ~ 23일 한국벤처캐피탈협회에서 주관하는 합숙 교육에 다녀왔습니다. 창업투자회사 등록을 위해서는 전문 인력 2명이 필요한데 위 교육 과정을 이수하면 전문 인력 자격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네트워크 확장을 위해 참여하는 VC 내부자들 이외에도 업계 진입을 희망하는 다양한 분들이 참석하였습니다.

생각해 보니 3일이나 더 남은 협회 교육...

교육은 합숙 5일, 출퇴근 교육 3일 총 8일로 다양한 강의로 구성됐습니다. VC 개요 및 투자 동향 등 개괄적인 내용을 다루는 강의부터 투자심사보고서 작성 방법과 같은 실무에서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강의까지 알찬 강의가 많았습니다. 업계에서 정말 잘나가시는 분들의 강의를 앉은 자리에서 한 번에 들을 수 있어서 영광이었습니다.

5일에 걸친 강의를 다 듣고 나서 느낀 점은 '어떻게 해야 벤처 투자를 잘할 수 있을까'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지난 글 [VC심사역 커리어 가이드 #1] 워런 버핏이 되고자 하는 VC 심사역 이야기 역시 투자 방법론에 관한 것이었죠. 우리는 많은 책과 영상을 통해서 투자 잘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미 알고 있습니다.

그에 비해 투자 이후의 과정에 대해서는 많은 정보가 없는 듯 합니다. 수익률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투자 이후의 과정에 대해서도 많은 학습이 필요합니다. 똑같은 주식을 똑같은 시점에 사더라도 수익률이 천차만별인 이유는 투자를 한 이후에 사람마다 시장에 대응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물론 비상장 주식과 상장 주식은 거래 유동성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사후관리 방식이 다르므로 이번 글에서는 K-VC의 사후관리 방식에 대해서 작성하였습니다.

사전 관리? 사후관리?

우선 사후 관리의 개념 정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협회 교육을 통해서 알게 된 사실은 VC에서는 사후 관리와 리스크 관리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VC는 어떤 방법을 통해 리스크 관리를 할 수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상장)주식형 펀드는 다양한 금융상품을 통하거나 종목/자산 비중 조절을 통해서 리스크를 관리합니다.

하지만 VC 조합의 경우 금융 상품 편입이 제도적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유동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시시때때로 사고 팔았다 할 수가 없으며, 벤처기업의 특성 상 리스크가 터졌을 때는 마땅히 대응할 만한 방법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VC의 경우 리스크 관리를 사후적으로 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사전에 다양한 안전 장치를 두어 리스크를 줄이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와 사후 관리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해서는 안 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빡빡한 계약서 - 멀어지는 우리 사이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방법은 투자 계약서입니다. 국내 VC가 사용하는 계약서는 협회에서 제공하는 계약서를 기본으로 합니다. 여기에 투자 건 별로 추가적으로 삽입해야 하는 특약 사항(ex. 목표 실적 미달성에 따른 전환가액 Refixing 등)을 더하는 정도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VC가 투자하는 대상이 벤처기업이라는 것입니다. 리스크 관리는 투자 업체가 성공하면 필요없는 업무입니다. 문제가 생길 때를 대비하여 미리 그 피해를 줄이고자 하는 것인데 벤처기업의 특성 상 문제가 터진다면 계약서 조항 몇 개로 피해를 줄이기는 어렵습니다. 망했을 때는 이미 상환권이고 주식매수청구권이고 큰 의미를 가지기 어렵기 때문이죠.

VC가 가지고 있는 공공성을 생각한다면 저런 조항들을 근거로 벤처기업을 압박하는 게 맞는지도 의문입니다. 계약서를 통한 리스크 관리가 현실적으로는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는 이유입니다.

깎아보자 낮춰보자 - 밸류에이션 후려치기

다음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이메일 등록 후 인증을 위한 메일이 발송됩니다.

Click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