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스타트업의 성장은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벤처캐피탈은 스타트업의 엑시트를 통해 기대 가능한 재무적 이익을 바탕으로 투자를 집행합니다. 따라서 스타트업의 엑시트는 벤처캐피탈 생태계의 가장 중요한 연결 고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엑시트가 활성화되어야 '창업 → 투자 → 엑시트 → 재창업 → 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엑시트의 대표적인 형태로는 IPO(기업 공개) 또는 M&A(인수 합병)이 있습니다.

source: 중소벤처기업부, 미국벤처캐피털협회, 코리아스타트업포럼, note: 한국 2019년, 미국 2018년 기준

스타트업의 본고장 미국에서는 IPO 만큼 M&A를 통한 엑시트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내는 IPO 비중이 현저히 높고, M&A를 통한 투자금 회수 비중은 0.5%에 불과한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IPO에 대한 엑시트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발굴한 기업의 IPO 실현 가능성을 가늠하는 것은 심사역으로서 중요한 역량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본 칼럼은 벤처캐피탈 심사역이 알아야 할 IPO 시장에 대한 구조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한편으로는 IPO를 통한 엑시트를 준비하는 창업자들도 본 칼럼에서 유용한 내용을 충분히 얻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
최근 정부 주도로 세컨더리 펀드를 조성하는 등 IPO 외 회수 시장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향후 회수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 ”올 1조원 규모 세컨더리 펀드 조성”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0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가진 '혁신 벤처·스타트업 자금지원 및 경쟁력 강화 방안' 기자브리핑을 통해 ”금융위원회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올 1월 중소기업 지원방안을 발표하면서 창업·벤처기업 육성에 29.7조원을 지원하기로 한 바 있지만, 최근 벤처업계 상황을 고려해 추가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김 위원장은 ”오늘 마련된 방안은 벤처업계의 주요 참여자인 벤처투자자, 벤처기업의 의견을 고려해 현재 벤처투자의 데스밸리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면서 ”주요 벤처투자자들에 따르면 글로

IPO Terminology 101:
IPO 용어 정리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IPO 시장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용어 몇 가지를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source: Getty Images (jargon), note: jargon이란 해당 업계에서만 쓰이는 전문용어를 의미합니다. 금융 산업에서의 불필요한 축약어나 외래어는 외부인의 혼란을 야기하기 쉽습니다.

IPO Initial Public Offering의 약어로 기업 공개를 의미합니다. 상장과 IPO라는 용어가 혼용되고 있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IPO는 상장의 방식 중 하나입니다. 상장이란 넓은 의미로 공개된 시장에서 매매할 수 있는 종목으로 지정된다는 뜻입니다.

ECM Equity Capital Market의 약어로, 증권사 내 주식 발행 전담 부서를 의미합니다. 채권 발행 부서인 DCM(Debt Capital Market)와 함께 전통상품을 담당하고 있으며, IPO, 유상증자, 주식연계증권(CB, BW, EB 등) 발행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인수회사 기업이 발행하는 유가증권을 인수하여 이를 일반에 매출하는 증권사를 의미합니다. 넓은 의미에서 상장주선인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source: Futurist
  • 상장주선인 인수회사 중 상장 준비 과정에서 필요한 제반 서류 작성 지원과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등 대관(對官) 업무를 수행하는 증권사를 의미합니다. 대표주관계약을 맺고 상장주선인을 선임했다는 것은 본격적인 IPO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주관회사 인수회사를 대표하여 유가증권의 인수 조건 등을 결정하고, 인수와 청약 업무를 통할하는 증권사를 의미합니다.
    • 대표주관회사 주관회사를 대표하는 증권사입니다.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을 통할하기 때문에 대표주관회사 지위를 따내기 위해 증권사 간 치열한 경쟁이 이뤄집니다.
  • (협의의)인수회사 상장주선인을 제외한 인수회사를 의미합니다.

RFP Request For Proposal의 약어로, 상장주선인을 선정하기 위한 제안서 작성을 요청하는 문서입니다. 발행사는 복수의 증권사에 RFP를 발송 후, 경쟁 심사를 거쳐 상장주선인단을 꾸리게 됩니다.

오버행(Overhang) 상장 직후 유통 물량 출회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심화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유통 물량이 많다면, 상장 직후 차익 실현 매물이 대거 출회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오버행 이슈를 적절히 관리하지 않으면 IPO 흥행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Big Picture of IPO:
IPO 시장 개괄

source: 한국거래소(KRX)

본격적으로 데이터를 살펴보기 전에 IPO 시장에 대한 큰 그림을 그려 봅시다.

1년에 몇 개의 기업이 상장할까요? 1년 250영업일 풀가동한다 해도 연간 100개 이상의 기업이 상장하는 것은 쉽지 않아 보입니다.

IPO 기업의 시가총액은 어느 정도일까요? 분포가 다양하겠지만, 언론 등에 노출되는 정보를 통해 1,000억원~5,000억원 사이에 많이 분포하고 있을 것이라고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시가총액 규모가 작은 기업이 더 많이 상장할 것이므로 평균 값은 대략 2,000억원 언저리라고 가정합시다.

기업 당 공개모집(공모) 규모는 얼마나 될까요? 규정 상 25% 이상의 주식 분산(일반투자자가 주식을 소유하는 것을 의미)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기업 당 공모 규모는 IPO 시가총액의 25%, 약 500억원으로 산출됩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주식 분산 요건이 존재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상장 규정을 참고 부탁 드립니다.)

따라서 [연간 IPO 기업 수(약 100여개) * 기업 당 공모 규모(약 500억원)를 곱]하면 IPO 시장 규모는 약 5조원으로 추산할 수 있습니다.

실제 데이터도 직관과 일치합니다. 2013년~2022년 IPO 공모 규모 중위값은 4.7조원(평균 7.2조원)이며, 동기간 매년 평균 99개의 회사가 새롭게 상장됐습니다.

[연간 공모 금액 및 공모 건수 추이]

source: 한국거래소(KRX), note: SPAC 합병 상장·이전 상장 제외, 2023년 8월 누계 수치

전세계적으로 유동성이 범람했던 2021년~2022년 IPO 공모 규모는 각 20.0조원, 16.1조원을 기록하였습니다. 해당 시기에는 조 단위 공모 딜이 여러 건 상장했는데, 2022년 상장한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12.75조원을 모집함으로써 단일 IPO 최대 공모 규모를 갱신하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식 발행 시장은 채권 발행 시장에 비하면 그 규모가 작습니다. 역대 최고치였던 2021년에도 IPO 공모 규모는 회사채 발행 규모 대비 4.7%에 그쳤습니다. 기업의 주요 자금 조달원은 여전히 부채가 압도적입니다.

[회사채 발행 금액 및 IPO 공모 금액 비중]

source: 한국거래소(KRX), 한국증권전산원(KOSCOM)

Road to IPO:
IPO 절차

IPO 절차는 1) 대표주관계약 체결, 2) 상장 심사, 3) 수요예측 및 청약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대표주관계약 체결부터 상장까지 일반적으로 약 10~12개월 가량 소요됩니다.

source: Futurist

1) 대표주관계약 체결

다음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이메일 등록 후 인증을 위한 메일이 발송됩니다.

Click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